반응형 프로젝트9 프로젝트는 콩쿨과 같습니다 프로젝트는 수행사와 고객사가 한 팀을 구성하여 진행합니다. 수행사에서는 컨설턴트를 뽑고, 고객사에서는 PI인력과 IT인력을 선발합니다. 회사마다 인력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인력을 Full-Time 으로 배정하기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컨설턴트의 비중을 늘리면서 고객사 직원의 참여는 Half-Time 으로 하거나 비상주로 필요시에만 참여하기도 합니다. TFT에 Full-Time 으로 발령받지 않고 발을 살짝 걸치고 있는 경우에는 아무래도 참여도가 떨어집니다. 주업무가 프로젝트가 아니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업무는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진도도 제대로 나가지 않고, 결과물에 대한 완성도도 떨어지게 됩니다. 그럼에도 일정 시간 지나 설계분석이 완료되.. 2022. 4. 23. 삼시세끼 먹는 것만 챙기면 됩니다 나영석 PD의 "삼시세끼"라는 예능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컨셉은 아주 심플합니다. 출연진들이 모여서 아침 먹고, 점심 먹고, 저녁 먹는 게 전부에요. 하루하루 밥먹고 쉬고 일하고 또 밥먹고 이게 전부입니다. 그런데 묘한 재미와 끌림이 있더라고요. 밥먹는 게 쉬운 일이 아니구나 다음에 또 뭐 해먹지 이게 또 하나의 고민거리구나 누구가 쉽게 공감했던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삼시세끼에서 다음 끼니 챙기듯이 프로젝트도 다음 주에 뭐 할까만 챙기면 됩니다. 삼시세끼에서는 다음 끼니 선정과 재료들을 고민하지요. 컨설턴트들은 다음 미팅에서 어떤 agenda를 다룰까를 고민하면 됩니다. 아울러 프로젝트매니져는 다음 주에 어떤 Task 를 진행할 지를 고민하면 되는 거구.. 2022. 4. 1. 좋은 부사수를 만나는 것도 복입니다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컨설턴트들로 팀을 꾸려서 업무를 진행합니다. 일반 회사에서도 처음에 입사하면 사수가 배정되죠. 그 분한테 조금씩 조금씩 업무에 대해서 배우기 시작합니다. 컨설팅회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반 회사와는 조금 다른 점은 프로제트 투입 전에 충분히 배울 만한 시간이 없다는 점이죠. 프로젝트에서 수행할 업무에 대해 OJT나 기본 교육으로 전수하기가 턱없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프로젝트 현장이 곧 최고의 배움터"라는 마인드로 신입 컨설턴트도 현장으로 마구 보냅니다. 그들과 합을 맞추면서 프로젝트 업무를 전달할 사수 컨설턴트가 정해집니다. 프로젝트 현장은 참 바쁘게 돌아갑니다. 사수가 부사수에게 차근차근 설명해 줄 시간이 별로 없습니다. 일단 간단한 일부터 시키고, 조금 .. 2022. 3. 26. LSMW Export & Import 프로젝트 수행 시 대량 데이타를 생성하거나 변경하기 위해서 LSMW 를 많이 활용합니다. S/4HANA 에서는 LTMC(Migration Cockpit)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도 프로젝트 현장에서는 LSMW 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이유는 기존에 만들어놨던 LSMW 를 화일로 이관할 수 있어서 그대로 타 프로젝트에서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미 생성되어 있는 LSMW 를 Export 하고 Import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 LSMW Export 하기 LSMW 가 만들어져 있는 SAP환경에 로그인하여 T-code : LSMW 를 실행합니다. 하기와 같이 내가 Export 하기 위한 LSMW 의 Project 정보를 입력합니다... 2022. 3. 20. 선발투수처럼 루틴과 게임플랜이 필요합니다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류현진 선수는 한 때 심각한 부상을 입었습니다. '어깨 관절와순'이 파열되는 치명적인 부상을 당했죠. 회복 가능성이 7%가 되지 않는 부상이었습니다. 수술과 오랜 재활 끝에 극적으로 재기하여 2019년에는 메이져리스 방어율 1위(2.32)라는 대업을 달성했습니다. 부상 이후 재활 하면서 류현진 선수가 강화했던 부분이 바로 게임플랜입니다. 선발투수들의 루틴은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에 이미 철저하게 준비하고 있었을 것이고, 부상 이후 달라진 점인 철저한 타자 분석을 바탕으로 한 게임플랜이었던 겁니다. 다음 경기 상대할 타자의 강점, 약점을 분석하여 투구 로케이션을 어떻게 가져갈 지 미리 플랜을 짜 두는 거죠. 이런 방법을 게임에 적극 반영하면서 강속구 투수도 아니고 구위로 찍어 누르는 스타.. 2022. 3. 20. 슬기로운 회의 생활 저는 프로젝트 업무를 기반으로 컨설턴트로서 오랜 기간 일을 하고 있습니다. 컨설턴트뿐 아니라 일반 회사생활 하시는 분들도 회의가 엄청 많으실 거에요. 대부분의 일은 회의로 시작해서 회의로 끝난다고 봐도 될 겁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일하는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면 회의를 통해서 원하는 결과물을 잘 이끌어내는 사람도 있고, 또 회의는 했지만 결과가 흐지부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리 업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회의를 잘 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첫째, 회의의 agenda 가 명확해야 합니다. 어떤 agenda 를 다둘 지 명확하게 선을 그어두고 회의를 시작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회의가 아니라 난상토론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습니다. 가장 분명하게 확실하게 해야 할 항목입니다. .. 2022. 3. 19. 요즘 출근이 즐겁고 설레입니다 요즈음 신입사원도 아닌데 출근이 즐겁습니다. 아침에 일찍 눈이 떠지고, 출근하는 길이 설레기까지 하네요. 예전에 한창 일에 파무쳐서 정신없이 지날 때는 번아웃도 오고 무기력하고 그랬습니다. 그 때는 아침에 눈자마자 '아 회사 가기 싫다'는 생각이 제일 먼저 떠올랐죠. 회사를 그만 둘까 하는 생각을 늘 달고 살았고요. 회사라는 조직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하고 있는 프로젝트성 업무도 변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업무강도는 과거보다 더욱 쎄지고 있지요 제 자신이 변했을 뿐. 제가 가장 크게 변화된 것은 삶의 우선순위에서 일을 내려놓았다는 점입니다. 인생에서의 우선순위가 신앙이라는 믿음과, 저와 가족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하고 되었습니다. 그리고 일과 생활을 확실하게 분리하려고 .. 2022. 3. 19. 컨설팅이란 무엇일까요 이 일을 시작한 지도 어느 덧 19년 정도 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하게 될 지는 전혀 생각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입사 전에는 이런 일이 있는 지 알지도 못했고요 단지 한 프로젝트, 한 프로젝트 씩 산을 넘다보니 여기까지 온 것 같습니다. 컨설팅이라는 게 참으로 힘들기도 하고, 지치기도 하고 어려움의 연속입니다. 하지만 프로젝트라는 산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보람과 성취감을 맛볼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말로서 컨설팅을 정의하지만, 저는 컨설팅을 정의할 때 예전에 횟집으로 식사하러 갔던 일을 떠올립니다. 프로젝트 팀원들과 저녁에 회식하러 근처 횟집에 들어갔습니다. "여기 처음인데 어떻게 시키면 될까요?" "요즘은 광어와 전어가 좋아서, 광어 대자로 테이블당 주문하시고, 전어.. 2022. 3. 19. 좋은 컨설턴트란 좋은 컨설턴트란 무엇일까요? 전에도 말한 바 있지만, 야구로 비유하면 컨설턴트는 선발투수에 해당합니다. 자기 게임을 책임지고, 본인의 무기를 가지고 타자들과 계속해서 승부를 벌여가는 점이 아주 유사합니다.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반드시 좋은 컨설턴트가 필요합니다. 좋은 컨설턴트를 이 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에이스"라고 부릅니다. 프로젝트 인력을 구성할 때 에이스급의 컨설턴트를 포함시키려고 많은 노력을 합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에이스가 될 수 있을까요? 업무적인 지식, 기술적인 스킬, 리딩하는 능력, 문서작성 능력, 발표력, 커뮤니이션 능력 등 에이스가 되기 위해서 많은 역량이 필요합니다.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컨설턴트들을 지켜본 입장으로서 에이스가 되기 위해 단 한가지 .. 2022. 3.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