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젝트관리자8 너무 잘 하려고 애쓰지 말 것 프로젝트 중간에 주니어 선생님들 두 분이 합류했다.비슷한 나이대에 앳되어 보이는 인상이다. 입사하자마자 노트북 받고 바로 현장으로 투입되었다고 한다. 급작스런 환경 변화에 내심 긴장을 많이 하고 있을 듯 했다. 나도 저럴 때가 있었다. 무엇을 해야 할 지도 모르고, 무엇을 물어봐야 할 지도 모르고 헤매이던 때가. 따로 불러서 간단하게 오리엔테이션을 했다.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사항과 프로젝트 상황, 그리고 각자 해야할 업무에 대해서 설명했다. 마지막에 덧붙여서 다독거려줬다. "너무 잘 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됩니다. 입사하자마자 이 프로젝트에 합류했는데, 그걸로 이미 충분히 역할을 다 했다고 생각해요.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어차피 시간이 필요합니다.우리 회사는 전문가가 될 때까지 충분히 기다려 줍.. 2024. 2. 7. 어설픈 갑질에 대처하는 자세 꽤 오래 전에 있었던 일입니다. 어떤 고객사 프로젝트에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저는 수행 PM으로 참여하게 되었어요. 고객사에서 내부적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준비했던 분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객사 PM이라고 부르지요. 우리회사 영업대표와 함께 고객사에 첫 미팅을 하러 갔습니다. 고객사 PM과 처음 만나게 되는 자리었어요. 미팅을 통해 상견례로 하면서 구체적으로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할 지를 논의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알고보니 이 분은 컨설팅회사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다가 고객사의 프로젝트TF팀장으로 이직을 한 분이었더라고요. 이런 경우 프로젝트 수행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정반대일 수도 있습니다. 이 TF팀장은 후자의 경우였어요. 처음부터 우호적인 태도가 아니었습니다... 2023. 12. 17. 사람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PM님, 여기 회의실로 빨리 좀 와주세요~"PL의 전화를 받고 이동하면서 예감이 안 좋았다.회의실에 도착하니 상황은 이미 벌어져 있었다. 고객사 직원 3명이 우리 회사 직원에게 무엇인가 불만을 가지고 몰아부치고 있었다. 잠시 상황을 지켜보니 회의에 추가로 참석해야 할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양쪽 담당자끼리 회의를 하다보니 추가로 대화가 진행이 안되는 경우였다. 누가 어떻게 해야 하는 건가요? 그 누군가가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컨텍 포인트를 알려주거나, 어떤 것들을 더 확인해 보면 된다고 말하면 끝나는 상황이었다. 실제 현장에서는 격앙된 분위기로 우리 직원에게 말로 폭행을 하는 수준이었다. 그런 것도 확인이 안 된 상태에서 회의를 왜 하느냐.책임감을 가지고 일 해줬으면 좋겠다는 식으로. "지금 분위.. 2023. 12. 17. 루틴의 힘을 믿습니다 메이저리그 선발투수는 대부분은 5일 로테이션을 지킵니다. 선발등판 후 4일 휴식 뒤 다음 경기에 나서는 시스템입니다. 이 기간에 다음 경기를 위해 정해진 순서대로 훈련과 휴식을 반복하는 데, 이를 '루틴'이라고 합니다. 선발투수 뿐 아니라 타자들도 본인만의 '루틴'을 유지하게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한다고 하네요. 정해진 시간에 훈련장에 도착하고, 정해진 횟수만큼 훈련량을 소화하고, 심지어 마시는 물의 온도까지도 일정하게 맞춥니다. 이 '루틴'이 올바르게 지켜질 때 다음 경기에서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죠. 프로젝트에서도 '루틴'이 마찬가지로 중요합니다. 프로젝트관리자는 관리자대로, 컨설턴트면 컨설턴트대로 '루틴'을 만들어 갑니다. 저의 경우에는 프로젝트 수행 시 팀미팅을.. 2022. 4. 10. 관중의 야유를 함성으로 바꾸어 봅시다 프로젝트매니져는 고객사와 팀원간 의사소통의 가교 역할을 합니다. 굳 뉴스이거나 밷 뉴스거나 전달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지요. 프로젝트는 여러 조직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일이 진행됩니다. TFT로 발령받은 고객사 현업 PI 가 있고, 고객사 IT 팀이 있습니다. 또한 여러 수행사의 컨설턴트 및 개발인력으로 구성됩니다.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다양한 구성원이 모여서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지요. 원활한 진행을 위해 'Ground Rule' 이나 '캐치 프레이즈'를 만들어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어찌됐건 간에 고객사 입장에서는 수행사 인력들이 집중해서 좋은 퍼포먼스를 내기를 기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한된 시간 안에 기대했던 아웃풋을 내야 하니까요. 이를 위해 초반에 고객사와 수행사.. 2022. 4. 8. 컨설팅이란 무엇일까요 이 일을 시작한 지도 어느 덧 19년 정도 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하게 될 지는 전혀 생각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입사 전에는 이런 일이 있는 지 알지도 못했고요 단지 한 프로젝트, 한 프로젝트 씩 산을 넘다보니 여기까지 온 것 같습니다. 컨설팅이라는 게 참으로 힘들기도 하고, 지치기도 하고 어려움의 연속입니다. 하지만 프로젝트라는 산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보람과 성취감을 맛볼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말로서 컨설팅을 정의하지만, 저는 컨설팅을 정의할 때 예전에 횟집으로 식사하러 갔던 일을 떠올립니다. 프로젝트 팀원들과 저녁에 회식하러 근처 횟집에 들어갔습니다. "여기 처음인데 어떻게 시키면 될까요?" "요즘은 광어와 전어가 좋아서, 광어 대자로 테이블당 주문하시고, 전어.. 2022. 3. 19. 새로운 프로젝트 시작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많은 인력들, 많은 협력회사와 함께하는 대규모 차세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힘을 최대한 빼려고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불필요한 에너지와 시간낭비를 줄이고, 많은 부분을 믿고 맡기려고 합니다. 기준치를 낮추고 챙겨야 할 부분에 집중하고, 팀원들이 마음껏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합니다. 프로젝트는 혼자 할 수 없습니다. 다수와 함께 프로젝트를 잘 이끌기 위해서는 내려놓고 믿고 맡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좋은 리더가 되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즐겁고 보람차고, 웃고 나올 수 있는 프로젝트 한번 만들어보겠습니다. 2022. 3. 19. 좋은 컨설턴트란 좋은 컨설턴트란 무엇일까요? 전에도 말한 바 있지만, 야구로 비유하면 컨설턴트는 선발투수에 해당합니다. 자기 게임을 책임지고, 본인의 무기를 가지고 타자들과 계속해서 승부를 벌여가는 점이 아주 유사합니다.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반드시 좋은 컨설턴트가 필요합니다. 좋은 컨설턴트를 이 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에이스"라고 부릅니다. 프로젝트 인력을 구성할 때 에이스급의 컨설턴트를 포함시키려고 많은 노력을 합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에이스가 될 수 있을까요? 업무적인 지식, 기술적인 스킬, 리딩하는 능력, 문서작성 능력, 발표력, 커뮤니이션 능력 등 에이스가 되기 위해서 많은 역량이 필요합니다.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컨설턴트들을 지켜본 입장으로서 에이스가 되기 위해 단 한가지 .. 2022. 3.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