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젝트리더4 프로젝트는 콩쿨과 같습니다 프로젝트는 수행사와 고객사가 한 팀을 구성하여 진행합니다. 수행사에서는 컨설턴트를 뽑고, 고객사에서는 PI인력과 IT인력을 선발합니다. 회사마다 인력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인력을 Full-Time 으로 배정하기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컨설턴트의 비중을 늘리면서 고객사 직원의 참여는 Half-Time 으로 하거나 비상주로 필요시에만 참여하기도 합니다. TFT에 Full-Time 으로 발령받지 않고 발을 살짝 걸치고 있는 경우에는 아무래도 참여도가 떨어집니다. 주업무가 프로젝트가 아니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업무는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진도도 제대로 나가지 않고, 결과물에 대한 완성도도 떨어지게 됩니다. 그럼에도 일정 시간 지나 설계분석이 완료되.. 2022. 4. 23. 야구는 투수 놀음, 프로젝트는 컨설턴트 놀음 드라마는 작가 놀음이고, 야구는 투수 놀음이란 말을 많이 합니다. 그만큼 그 역할을 맡은 사람의 중요성이 크다는 의미겠지요. 짱짱한 필력을 가진 작가의 대본이 있어야 드라마가 시작될 수 있는 것이고요, 믿고 맡길 수 있는 선발투수가 있어야 경기에서 승리할 수 있는 발판이 되는 것입니다. 그럼 프로젝트는 어떨까요? 저는 프로젝트는 컨설턴트 놀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컨설턴트들로 팀이 구성되느냐에 따라서 프로젝트의 성과가 크게 좌지우지됩니다. 최근에는 워낙 프로젝트가 많아서 컨설턴트를 찾는 게 쉽지 않습니다. 실력이 좋은 컨설턴트들로 팀을 꾸리면 프로젝트의 성공은 일단 절반은 먹고 들어갑니다. 하지만, 좋은 컨설턴트들로 팀을 온전히 꾸리는 것은 참 어렵습니다. 다양한 경험과 스킬 .. 2022. 3. 19. 컨설팅이란 무엇일까요 이 일을 시작한 지도 어느 덧 19년 정도 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하게 될 지는 전혀 생각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입사 전에는 이런 일이 있는 지 알지도 못했고요 단지 한 프로젝트, 한 프로젝트 씩 산을 넘다보니 여기까지 온 것 같습니다. 컨설팅이라는 게 참으로 힘들기도 하고, 지치기도 하고 어려움의 연속입니다. 하지만 프로젝트라는 산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보람과 성취감을 맛볼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말로서 컨설팅을 정의하지만, 저는 컨설팅을 정의할 때 예전에 횟집으로 식사하러 갔던 일을 떠올립니다. 프로젝트 팀원들과 저녁에 회식하러 근처 횟집에 들어갔습니다. "여기 처음인데 어떻게 시키면 될까요?" "요즘은 광어와 전어가 좋아서, 광어 대자로 테이블당 주문하시고, 전어.. 2022. 3. 19. 새로운 프로젝트 시작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많은 인력들, 많은 협력회사와 함께하는 대규모 차세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힘을 최대한 빼려고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불필요한 에너지와 시간낭비를 줄이고, 많은 부분을 믿고 맡기려고 합니다. 기준치를 낮추고 챙겨야 할 부분에 집중하고, 팀원들이 마음껏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합니다. 프로젝트는 혼자 할 수 없습니다. 다수와 함께 프로젝트를 잘 이끌기 위해서는 내려놓고 믿고 맡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좋은 리더가 되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즐겁고 보람차고, 웃고 나올 수 있는 프로젝트 한번 만들어보겠습니다. 2022. 3.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