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젝트매니져6 너무 잘 하려고 애쓰지 말 것 프로젝트 중간에 주니어 선생님들 두 분이 합류했다.비슷한 나이대에 앳되어 보이는 인상이다. 입사하자마자 노트북 받고 바로 현장으로 투입되었다고 한다. 급작스런 환경 변화에 내심 긴장을 많이 하고 있을 듯 했다. 나도 저럴 때가 있었다. 무엇을 해야 할 지도 모르고, 무엇을 물어봐야 할 지도 모르고 헤매이던 때가. 따로 불러서 간단하게 오리엔테이션을 했다.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사항과 프로젝트 상황, 그리고 각자 해야할 업무에 대해서 설명했다. 마지막에 덧붙여서 다독거려줬다. "너무 잘 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됩니다. 입사하자마자 이 프로젝트에 합류했는데, 그걸로 이미 충분히 역할을 다 했다고 생각해요.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어차피 시간이 필요합니다.우리 회사는 전문가가 될 때까지 충분히 기다려 줍.. 2024. 2. 7. 프로젝트는 콩쿨과 같습니다 프로젝트는 수행사와 고객사가 한 팀을 구성하여 진행합니다. 수행사에서는 컨설턴트를 뽑고, 고객사에서는 PI인력과 IT인력을 선발합니다. 회사마다 인력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인력을 Full-Time 으로 배정하기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컨설턴트의 비중을 늘리면서 고객사 직원의 참여는 Half-Time 으로 하거나 비상주로 필요시에만 참여하기도 합니다. TFT에 Full-Time 으로 발령받지 않고 발을 살짝 걸치고 있는 경우에는 아무래도 참여도가 떨어집니다. 주업무가 프로젝트가 아니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업무는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진도도 제대로 나가지 않고, 결과물에 대한 완성도도 떨어지게 됩니다. 그럼에도 일정 시간 지나 설계분석이 완료되.. 2022. 4. 23. 루틴의 힘을 믿습니다 메이저리그 선발투수는 대부분은 5일 로테이션을 지킵니다. 선발등판 후 4일 휴식 뒤 다음 경기에 나서는 시스템입니다. 이 기간에 다음 경기를 위해 정해진 순서대로 훈련과 휴식을 반복하는 데, 이를 '루틴'이라고 합니다. 선발투수 뿐 아니라 타자들도 본인만의 '루틴'을 유지하게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한다고 하네요. 정해진 시간에 훈련장에 도착하고, 정해진 횟수만큼 훈련량을 소화하고, 심지어 마시는 물의 온도까지도 일정하게 맞춥니다. 이 '루틴'이 올바르게 지켜질 때 다음 경기에서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죠. 프로젝트에서도 '루틴'이 마찬가지로 중요합니다. 프로젝트관리자는 관리자대로, 컨설턴트면 컨설턴트대로 '루틴'을 만들어 갑니다. 저의 경우에는 프로젝트 수행 시 팀미팅을.. 2022. 4. 10. 관중의 야유를 함성으로 바꾸어 봅시다 프로젝트매니져는 고객사와 팀원간 의사소통의 가교 역할을 합니다. 굳 뉴스이거나 밷 뉴스거나 전달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지요. 프로젝트는 여러 조직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일이 진행됩니다. TFT로 발령받은 고객사 현업 PI 가 있고, 고객사 IT 팀이 있습니다. 또한 여러 수행사의 컨설턴트 및 개발인력으로 구성됩니다.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다양한 구성원이 모여서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지요. 원활한 진행을 위해 'Ground Rule' 이나 '캐치 프레이즈'를 만들어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어찌됐건 간에 고객사 입장에서는 수행사 인력들이 집중해서 좋은 퍼포먼스를 내기를 기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한된 시간 안에 기대했던 아웃풋을 내야 하니까요. 이를 위해 초반에 고객사와 수행사.. 2022. 4. 8. 프로젝트 첫 수주 이야기 컨설팅회사는 프로젝트를 수주해야 먹고 삽니다. 프로젝트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을 해야 합니다. 하나의 프로젝트 기회에 경쟁사들도 같이 참여하기 때문에 수주를 위한 과정을 멀고도 험난합니다. 컨설팅회사에는 리더그룹이 있습니다. 이들은 프로젝트 기회를 발굴하고, 이를 빌드업시켜서 제안을 하고 수주를 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수주 후에는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매니져 또는 관리자로서 프로젝트 수행까지 담당하기도 합니다. 저도 주니어컨설턴트 시절이 있었고요, 그때는 리더그룹의 역할을 할 사람은 선천적으로 정해져있다고 생각합니다. 컨설턴트 입장에서는 본인이 맡은 업무 영역의 실무적 수행만 고민하면 되는데, 리더그룹의 역할은 프로젝트가 만들어지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책임쳐야 하기 때문에 거리.. 2022. 3. 27. 선발투수처럼 루틴과 게임플랜이 필요합니다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류현진 선수는 한 때 심각한 부상을 입었습니다. '어깨 관절와순'이 파열되는 치명적인 부상을 당했죠. 회복 가능성이 7%가 되지 않는 부상이었습니다. 수술과 오랜 재활 끝에 극적으로 재기하여 2019년에는 메이져리스 방어율 1위(2.32)라는 대업을 달성했습니다. 부상 이후 재활 하면서 류현진 선수가 강화했던 부분이 바로 게임플랜입니다. 선발투수들의 루틴은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에 이미 철저하게 준비하고 있었을 것이고, 부상 이후 달라진 점인 철저한 타자 분석을 바탕으로 한 게임플랜이었던 겁니다. 다음 경기 상대할 타자의 강점, 약점을 분석하여 투구 로케이션을 어떻게 가져갈 지 미리 플랜을 짜 두는 거죠. 이런 방법을 게임에 적극 반영하면서 강속구 투수도 아니고 구위로 찍어 누르는 스타.. 2022. 3.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