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Painter 를 S/4HANA 에서 어떤 식으로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eport Painter 생성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은 하기와 같습니다.
계정과목코드 (CoA)가 있고, 이를 기반으로 Account Set 를 구성하고
Account Set 를 활용하여 Report 와 Report Group 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AXdjF/btszMdDq4O3/QKX1KNukkPS450j3c4yGX0/img.png)
결과물(Output)이 드릴다운레포트와는 조금 다릅니다.
하기와 같이 Excel 형태로 통합되어 자료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무적으로도
활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WFdg/btszK6EUqNI/1sIHajncBgEIrfUtEHqsC0/img.png)
순서
|
T-code
|
프로그램 명
|
설 명
|
비고
|
1
|
GR21
|
라이브러리 생성
|
레포트 페인터를 별도 저장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를 구성함
|
|
![](https://blog.kakaocdn.net/dn/coIi4N/btszKyhBNqG/kuvAUolYb41LJkhKKfypy0/img.png)
처음에 레포트페인터 데이터를 저장할 라이브러리를 T-code : GR21 에서 만듭니다.
S/4HANA 에서는 ACODCT 테이블을 근간으로 라이브러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jgg9o/btszLt7BTds/A3cXhrAnvPMt1nP3kjUXM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yW5TM/btszHGABvCh/hFtP4ilkqiGfsxmEwFgX51/img.png)
* 특징 : 향후 레포트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특성치에 대해서 선택할 수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d2bbJJ/btszHu1yNPx/fJ1uWAkLLaVhNJGMeEf4ak/img.png)
* 향후에 레포트에 선택대상이 되는 특성치를 정의함
근간 테이블이 ACDOCT 테이블이기 때문에 기존 ECC 보다 훨씬 많은 특성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순서
|
T-code
|
프로그램 명
|
설 명
|
비고
|
2
|
KE5B
|
재무제표버전 복사
|
재무제표 버전을 복사하여 Set 로 생성
|
|
![](https://blog.kakaocdn.net/dn/tmvgy/btszLo6hFni/hnkn9JxL8C6VQOSPwUk8P1/img.png)
기존에 재무제표버젼을 만들어두었다면 해당 버전을 복사하여 Set 를 생성합니다.
접두부 또는 접미부를 붙여서 Set 를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NUpA/btszLZZAQx5/nZyPccwYAKnbskvGkQoCok/img.png)
여기에서는 접두부를 Z 로 하여 재무제표버젼을 복사해보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gBiqS/btszJ2ceEtf/p6pPSUJkC97A8hjw1woDD1/img.png)
Set 의 자리수는 Max 10 자리까지 가능합니다.
이런 식으로 Copy 하게 되면 재무제표버젼과 Set 를 항상 동기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순서
|
T-code
|
프로그램 명
|
설 명
|
비고
|
3
|
GRR4
|
모델 생성
|
자주 사용하게 되는 열모델, 행모델을 생성하여 관리함
|
열모델 생성
|
![](https://blog.kakaocdn.net/dn/cLfl9A/btszKB6aa66/NAmMCyZd6y4F3voWS3ttW1/img.png)
자주 사용하는 열(Column)에 대해서는 사전에 열모델을 생성합니다.
여러 개의 레포트를 생성하는 경우에 열모델이 있으면 그대로 활용하면 되기 때문에
훨씬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Fdy1/btszLnsSfR9/INLi4iM4BGeya8XCqTWyL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IrGyP/btszIZNBAC1/SZKNryLLGydpctdNiLtrsK/img.png)
여기에서는 열모델을 손익센터(Profit Center) 로 지정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BiT3/btszM1iy23Z/OYhB2KzIgpZKGapSrvzL3k/img.png)
각 열별로 회사의 손익센터를 구분하여 나열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61Tau/btszMampKUd/4DuO1xGCWDdgHLMxnJOdy1/img.png)
순서
|
T-code
|
프로그램 명
|
설 명
|
비고
|
4
|
GRR4
|
모델 생성
|
자주 사용하게 되는 열모델, 행모델을 생성하여 관리함
|
행모델 생성
|
![](https://blog.kakaocdn.net/dn/brNs7V/btszM0RuPG9/vhJPj8npAeyoPgWHtsnSY1/img.png)
이번에는 T-code : GRR4 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행모델을 생성해 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n2Is/btszLYfi3g6/bh1iK1g8dpMLX0VZx81vA0/img.png)
행모델은 아주 심플하게 매출액, 매출원가, … 영업이익 을 요약해서 볼 수 있도록
구성해보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gppg/btszGO6LEnK/0FV0VyFqznLsOtzE74KqE0/img.png)
순서
|
T-code
|
프로그램 명
|
설 명
|
비고
|
5
|
GRR1
|
레포트 생성
|
리포트 페인터에서의 실제 리포트를 만드는 과정
|
|
![](https://blog.kakaocdn.net/dn/cfDUiM/btszLjRyVNX/3OUqYwlkmvyStJi6SgGg9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Zkpkh/btszIZz4N7v/3NBGXmbexAi0WzZ7L3yw6k/img.png)
이제 T-code : GRR1 에서 레포트를 생성하는데, 이미 만들어놨던 행모델과
열모델을 가져와서 활용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1LuUt/btszH8p9N5k/X9KBNdrNtSmurR7j2jKit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eaXNMu/btszGQ4Bo3I/UgKQPSq8KRNGg8s1mvSsqk/img.png)
여기까지 하면 별도의 행모델, 열모델을 가져와지기 때문에 손쉽게 행과 열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그 이후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변수들에 대해서 하기와 같이 "일반 데이터 선택"을
통해서 지정하도록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vGV9P/btszJJcyKac/8fcCfMTYIYI0Y5Ne5fxbB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z8VVR/btszHve9ey9/MxBMRcYIZalB58kkEtRIuK/img.png)
순서
|
T-code
|
프로그램 명
|
설 명
|
비고
|
6
|
GR51
|
레포트 그룹 생성
|
생성된 레포트를 레포트 그룹에 연결함
|
|
![](https://blog.kakaocdn.net/dn/btBz7E/btszLlPkKgJ/744cG7HYVJbC8q9YwF5Kmk/img.png)
다음은 T-code : GR51 을 통해 레포트 그룹을 생성합니다.
위에서 만든 레포트를 레포트 그룹과 연결하게 되고, 이 레포트 그룹에
Transaction code 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5eYuc/btszJHy4bWW/w2h2Lp6WecQ4znyGQx4Tv1/img.png)
상단에 "리포트" 부분을 클릭하여 생성했던 리포트를 연결해 줍니다.
하단에 "리포트를 리포트 그룹에 지정하지 않음"을 선택하여 호출하는 프로그램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JzNg7/btszJ0S07zm/BKnuyKdfKPQIv2F1e81621/img.png)
개별항목조회 (FAGLL03) 를 연결하면 더블클릭 시 전표 개별항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순서
|
T-code
|
프로그램 명
|
설 명
|
비고
|
6
|
GRR3
|
레포트 조회
|
레포트를 실행하여 결과를 확인함
|
|
레포트를 조회하여 결과를 확인해봅니다.
좌측에는 여러 회사코드를 Variation 으로 나열되게 구성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x5dUW/btszK7X7Jvn/rexWLMZRbq1gGrh8VxRnj1/img.png)
디테일하게 세부계정과목코드 수준까지 쪼개서 볼 수도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pyefW/btszK7w3mY6/uS8yUQzFbw61ii7ZJgq5kk/img.png)
레포트 결과물을 Excel 로 바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하기와 같이 "전문가 모두"를 체크하고, 출력유형을 "MS Excel"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Tbh2/btszGUeO2oa/16JSdqdbnhT1VXSC80bV2k/img.png)
하기와 같이 엑셀로 바로 변환됨을 확인할 수 있고요, 해당 자료는 Excel 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0cyla/btszJJXWpYe/KZc5bixNv7HdSQZxgYD3rK/img.png)
순서
|
T-code
|
프로그램 명
|
설 명
|
비고
|
6
|
GRR2
|
섹션 추가
|
하나의 레포트에서 섹션을 추가하여 구분하여 볼 수 있음
|
|
T-code : GRR2 에서 하나의 레포트에서 Section 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섹션을 추가하여 상단부와 하단부를 구분해서 동시에 레포트를 비교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한다.
![](https://blog.kakaocdn.net/dn/4PPVG/btszM3HrXIM/KuGbGkC8XvwET60uJmBn7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4RJ6j/btszK4AeXp7/IlrKVZKkuomVSuSSlTgCS1/img.png)
순서
|
T-code
|
프로그램 명
|
설 명
|
비고
|
7
|
GRR3
|
레포트 조회
|
최종 결과를 확인함
|
|
![](https://blog.kakaocdn.net/dn/dTBaO6/btszK4738aY/oR4tN2kzjZSQbFcIOTUBY0/img.png)
T-code : GRR3 에서 레포트를 실행하여 최종 결과물을 확인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L2eMy/btszGQwMFfc/mKsOMTKmjbkNBqps0AOxAK/img.png)
* 좌측의 회사코드와 같이 Variation 구성을 하기 위해서는 하기와 같이 계층구조와 변수를
동시에 선택하고 "전개"를 선택하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n4TT/btszLjqt5t6/8qWyZdGGO50ysQYdoGJPGk/img.png)
이상입니다.
'만능목공풀 > SAP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SE43N 을 통해 Drilldown Report 의 T-code 생성 방법 (0) | 2023.11.04 |
---|---|
[Integration] 환율차이(KDM)와 구매차이(PRD)의 개념 (1) | 2023.11.04 |
[Trouble] 전표유형 RV 항목 역분개시 에러 발생 (0) | 2023.11.04 |
[Tip] S/4HANA Business Partner 삭제하는 방법 (BUPA_DEL) (3) | 2023.11.04 |
LTMC 에서 Custom Field 추가하는 방법 (1) | 202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