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와 재무를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Configuration 은 Auto-Posting 이라고 알려져 있는 부분입니다. 이를 통해서 SCM에서 Transaction이 발생할 때 바로 FCM으로 통합이 되면서 정확하게 의미있는 정보들을 던져주게 되는 거죠.
프로젝트 중간에 어느 정도 Baseline Configuration이 끝났다고 생각할 때 이 Auto-Posting 부분이 제대로 되었는지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내용은 평상시 운영 중에서 수시로 확인하면서 체크할 수 있습니다.
T-code : OMWB 로 이동합니다.
Configuration 의 메뉴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4LTf/btszKeX1ksF/EBC7ooF8qKFFgXqDEXWxeK/img.png)
Valuation Area 를 물어보는 창이 뜨면 "Next Entry"를 누르고 진행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vlQ3/btszKAmDw0j/gfv5wZqxRBOfLppSNrkNnk/img.png)
하기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G/L Account"를 클릭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b2rb/btszJZz81jv/MkGKcGKUInvKOPCVYEqq9K/img.png)
Company Code 와 Valuation Area 를 하기와 같이 입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IGsE3/btszLoS9jMp/UMhiFikXz4CnkxKe2wDtYK/img.png)
그러면, 계정과목과 Valuation Class, Transaction Event Key 등이 어떻게 Mapping 되어 있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8WW7v/btszH5gh3wI/6PIt9fnUXaRraUg1UQx7oK/img.png)
전체적으로 Auto-Posting 부분을 체크해 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T-code : CKM9 로 이동합니다.
여기에서는 Plant 별로 전반적인 Setting 이 이상이 없는 지 누락된 것은 없는 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Mz6rJ/btszNUqslMV/adKrBhsLAlOjPra3YpPu9k/img.png)
Plant 를 입력하게 실행합니다.
Display Account 는 체크하도록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MLkR/btszJ1rcBR5/wl6cKdrf4WoqDS0lPGKcQk/img.png)
하기와 같이 Material Ledger 에 대한 전반적인 Setting 상황을 보여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eXEl/btszONY3MTn/aMkmZZ2AY9tJI113JDrTF1/img.png)
화면 아래도 스크롤해서 더 내려가면 아래와 같이 모든 Auto-posting 세부 내역도 보여줍니다.
누락된 부분도 화면에 표시가 되기 때문에 모니터링 하기에 용이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KDp5/btszLlPJVxB/UTMjz99AIz5N2lrBrcHa60/img.png)
이런 방법을 통해 물류와 재무가 통합되는 Configuration인 Auto-Posting 에 대해서
검증해보고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만능목공풀 > SAP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ouble] 고정자산 Worklist 실행시 에러 메시지 (5W141) (0) | 2023.11.05 |
---|---|
[Integration] 수입 프로세스 및 구매오더 히스토리 이해 (0) | 2023.11.05 |
[Trouble] BP 마스터 생성 후 Dump 현상 (No Active Tab) 해결 조치 (0) | 2023.11.05 |
[Tip] 클라이언트 속성관리 (T-code : SCC4) (0) | 2023.11.05 |
[Tip] IMG 에서 T-code 찾는 방법 (Configuration) (0) | 2023.11.05 |